정적 바인딩과 동적 바인딩
by 으렴표지가 보면 볼수록 박카스 같네..
바인딩 Binding
바인딩? 접근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java에서의 overloading, 동적 바인딩은 모두 다형성의 개념으로 만들 수 있다.
1. 정적 바인딩 Static Binding
내가 만들어서 내가 접근하는 방식 (객체, 메소드)
자식이 만들고 부른 만큼만 부를 수 있다.
2. 동적 바인딩 Dynamic Binding
부모의 referance로 자식을 접근하는 방식
타입이 다르지만 상속 구조이기에 접근이 가능케 할 수 있다.
- 부모가 알고있는 범위 내에서만 접근 가능
- 따라서 추상클래스 / 함수의 개념인 abstract를 사용하여야 한다.
추상 class / method ?
상속을 위해서만 만들어진 class / method
부모의 입장에서 자식 메소드에게 오버라이딩의 강제성을 부여한다.
부모가 자식 것을 불러 사용하거나 자식이 자식자체의 것을 사용하거나 둘이 통일 되어야 한다.
추상메소드를 사용하면 무조건 오버라이딩을 해야하는 강제성이 부여된다.
제어문을 통해 객체 접근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최상위 부모클래스에서 여러 자식 객체에 접근이 가능하다.
'Programming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Overloading 오버로딩 (0) | 2019.02.20 |
---|---|
JAVA의 접근 지정자 (0) | 2019.02.20 |
Java Class에는 무엇이 들어갈까? (0) | 2019.02.19 |
JAVA란 무엇인가? (0) | 2019.02.19 |
DESIGN-PATTERN :: Strategy Pattern 스트래티지 패턴 (0) | 2019.01.05 |
사이트의 정보
코딩하렴
으렴